HOME   /   알림마당   /   자료실

    자료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중년의 불안정 노동 유형과 영향 요인: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중심으로(제45권제3호)(이선우, 최혜빈)
    2025-10-08 13:05:22
    관리자
    조회수   22

    보건사회연구제45권제3호.png

     

    신중년의 불안정 노동 유형과 영향 요인: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f Precarious Labor and Its Determinants of Precarious Labor in New Middle-Aged Adults: Using Group Based Trajectory Analysis

    이선우(서울대학교) ; 최혜빈(서울대학교)
    Lee, Sunwoo(Seoul National University) ; Choi, Haebin(Seoul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45, No.3, pp.475-495 23 September 2025

     

     알기 쉬운 요약

    이 연구는 왜 했을까?
    신중년 세대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에서 점차 중요한 노동력으로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노동시장 내 위치는 여전히 불안정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고용의 단면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노동시장 내 이행과 변화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신중년의 고용·소득‧사회보장 궤적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실질적인 정책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새롭게 밝혀진 내용은?
    신중년의 불안정 노동은 고용상태, 소득수준과 사회보장 기대감 형태에 따라 다섯 가지 궤적 유형으로 구분된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성별·연령·교육 수준과 삶의 질, 고용 안정성 등 개인의 인구통계학·심리사회적 특성이 궤적 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불안정 노동을 단순한 고용상태, 소득수준으로 판단하기보다, 복합적 요인을 통해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나?
    첫째, 신중년의 고용·소득·사회보장 궤적에 대한 세분화된 연구와 함께, 산업·지역·연금 수급 등 맥락을 고려한 분석과 실증 기반의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신중년을 이질적 집단으로 인식하고, 경력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재취업 및 직무 재매칭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저소득 취약 유형을 위한 고용 안정성 확보와 함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정서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erceived labor market instability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categorizing it by employment status, income level, and social insurance expectations,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precarious labor experiences of new middle-aged adults. Utilizing data from the 5th to 9th waves (2014-2022)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manag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is research employs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to categorize labor market trajectories. The analysis identifies five distinct precarious labor archetypes: (1) Low-income Non-wage Workers, (2) Low-income Self-employment-oriented Workers, (3) Middle-income Self-employed Workers, (4) Low-to-middle-income Unskilled Workers, and (5) High-income Full-time Workers. Key determinants influencing these trajectories include gender, age, educational attainment, quality of life, and employment stability. The findings elucidate the dynamic labor market transitions experienced by new middle-aged individuals and offer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olicy development and scholarly research, emphasizing the need to address the specific vulnerabilities and roles of this population.

    keyword
    New Middle-Aged Adults Precarious Labor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초록

    이 연구는 현재 중고령에 해당되는 신중년이 직면하고 있는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고용상태, 소득수준, 사회보장 기대감 수준에 따라 노동시장에서의 불안정성을 유형화하고, 불안정 노동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관리하고 있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Ageing: KLoSA)의 5- 9차년도까지(2014∼2022년)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집단중심추세분석(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을 통해 신중년의 불안정 노동 궤적을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1) ‘저소득 비임금근로자형’, (2) ‘저소득 자영중심형’, (3) ‘중소득 단순직형’, (4) ‘중저소득 상용직형’, (5) ‘고소득 상용직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삶의 질, 고용안정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신중년의 유형별 궤적을 통해 신중년의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들의 역할과 특성을 반영한 정책 및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붙임 : journal-45-3-475.pdf(신중년의 불안정 노동 유형과 영향 요인: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중심으로)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 파일
    공지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2024 연명의료결정제도 연보    관리자 2025-10-13 8
    공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치매 노인 및 가족을 위한 국외 생애말기 사전돌봄계획 지원 프로그램 분석과 한국형 프로그램 개발(보건사회연구 제45권제3호(하정화, 이창숙)    관리자 2025-10-08 22
    공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키하사(KIHASA) 기획] 고령사회의 안전망, 치매공공후견|치매 노인의 권리와 제도 관리자 2025-10-08 22
    공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중년의 불안정 노동 유형과 영향 요인: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중심으로(제45권제3호)(이선우, 최혜빈)    관리자 2025-10-08 22
    공지 연명의료결정제도 FAQ(등록기관용)    관리자 2025-10-13 7
    공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요국의 장사(葬事) 정책 및 제도의 국제 비교: 일본, 미국, 프랑스를 중심으로(국제사회보장리뷰 2025년 가을호, 통권 34호)(고덕기)    관리자 2025-10-08 27
    공지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시행 2024. 6. 14.] [법률 제19466호, 2023. 6. 13., 일부개정]    관리자 2025-05-15 161
    공지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연명의료결정제도_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안내 영상 관리자 2024-12-04 295
    공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양식(2024.2월부터 적용)    관리자 2024-02-26 558
    공지 "호스피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중앙호스피스센터)    관리자 2024-08-27 214
    7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의 자기결정권 존중 관점에서 한국, 미국, 호주, 일본의 재가돌봄 제도 비교분석(한다정, 김소윤)[보건사회연구] 제45권제2호    관리자 2025-08-30 116
    71 [MBC 100분토론] 존엄하게 죽을 권리(1112회) 관리자 2025-08-21 91
    70 [KBS 시사] 있어도 못 쓰는 치매머니 관리자 2025-08-26 82
    69 [EBS건강] “내가 선택한 연명치료, 후회하지 않으려면”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중환자실 이야기(김현아 교수) 관리자 2025-09-07 63
    68 [YTN korean] 홀로 맞이하는 외로운 죽음, 과연 남의 일일까? [글로벌Y] 관리자 2025-08-06 88
    67 [뉴시스] '완화의료' 적용했더니…'임종기' 응급실 의존도 줄었다    관리자 2025-08-06 91
    66 [KBS다큐] 죽음… 삶의 마지막에 대해 | KBS 20160426 방송(홍양희 공동대표 출연) 관리자 2025-07-20 96
    65 [MBC PD수첩] [스피디(sPeeD) 수첩] 초고령화가 초래할 간병 문제, 통합 돌봄의 미래는? 관리자 2025-07-16 100
    64 [KBS시사] [사사건건] 존엄한 죽음 선택, 이제는 고민할 때? (윤영호, 남유하) 관리자 2025-07-20 112
    63 [YTN] [메디컬 인사이트 92회] 전문의의 시각으로 보는 '존엄한 생의 마무리, 웰다잉' 관리자 2025-07-13 113
    62 [한국일보] 당신은 어떤 모습으로 죽고 싶나요?(정득훈 상담사 인터뷰) 관리자 2025-07-07 122
    61 [한국리서치] [기획] 죽음을 마주하는 한국사회 – 조력 존엄사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 조사    관리자 2025-07-28 99
    60 [EBS] 백세 어르신들을 조사한 결과, 건강하고 장수하는 노인의 조건? 관리자 2025-07-06 104
    59 [YTN] 초고령사회 우리의 미래 | 다큐24 관리자 2025-07-06 100
    58 [보건복지부] 2025 노인복지시설 현황    관리자 2025-07-06 105
    1 2 3 4 5

    상담신청

    교육문의

    e 뉴스레터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