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림마당   /   웰다잉소식

    웰다잉소식

    [동아일보] [온라인 라운지]“살아낸 삶을 기록하다”… 시각장애인·어르신 구술자서전 두 편 나란히 출간
    2025-11-18 18:51:19
    관리자
    조회수   10

    성북점자도서관·의왕 오전동성당서 출판기념회
    “차별과 그리움 넘어 삶을 빛낸 이야기들”

     

    각각 시각장애인과 70, 80대 어르신의 이야기를 담은 구술자서전 ‘여전히 삶은 아름답다’와 ‘살아내니 빛난 내 인생’ 표지. 사단법인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제공

    각각 시각장애인과 70, 80대 어르신의 이야기를 담은 구술자서전 ‘여전히 삶은 아름답다’와 ‘살아내니 빛난 내 인생’ 표지. 사단법인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제공



    시각장애인과 고령 어르신들의 생애를 기록한 두 권의 구술자서전이 최근 잇따라 출간돼 잔잔한 울림을 주고 있다.

    18일 서울 성북점자도서관은 4일 ‘여전히 삶은 아름답다’ 출판기념회를 열고, 시각장애인 10명의 생애사를 세상과 나눴다고 밝혔다. 사단법인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소속 구술작가들이 반년 넘게 시각장애인과 1대 1로 인터뷰하고 집필한 결과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딸이 쓴 편지 낭독과 대금 연주가 이어지며 참석자들의 눈시울을 붉혔다. 책에는 차별과 제약 속에서도 꿋꿋이 삶을 이어온 이들의 빛나는 생이 담겼다. 성북점자도서관은 “2026년 점자의 날 100돌을 앞두고 더 많은 이웃이 시각장애인의 삶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경기 의왕시 오전동 성당도 12일 ‘살아내니 빛난 내 인생’ 출판기념회를 열었다. 2025 경기도 종교계 예술문화지원 사업으로 추진된 이번 프로젝트에는 70, 80대 어르신 10명과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이 참여했다. 작가와 대상자가 여름 내내 여러 차례 만나 인터뷰를 이어갔고, 사진과 삶의 조각들이 한 권의 기록으로 엮였다. 이미 세상을 떠난 가족을 책 속에서 다시 만난 어르신들은 “이젠 하늘나라에 가도 아이들에게 미처 못 한 말을 남긴 것 같다”고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관계자는 “평범해 보이지만 누구보다 치열하게 살아낸 이들의 기록이 지역 사회의 기억 자산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기사원문보러가기 [온라인 라운지]“살아낸 삶을 기록하다”… 시각장애인·어르신 구술자서전 두 편 나란히 출간|동아일보

    4일 서울 성북점자도서관에서 시각장애인 10명의 구술자서전 ‘여전히 삶은 아름답다’ 출판기념회가 열려 참석자들이 소회를 나누고 있다. 사단법인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제공

    4일 서울 성북점자도서관에서 시각장애인 10명의 구술자서전 ‘여전히 삶은 아름답다’ 출판기념회가 열려 참석자들이 소회를 나누고 있다. 사단법인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제공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기사날짜 조회수 첨부 파일
    공지 [동아일보] [온라인 라운지]“살아낸 삶을 기록하다”… 시각장애인·어르신 구술자서전 두 편 나란히 출간 관리자 2025-11-18 10
    공지 [한겨레] ‘좋은 죽음’ 위한 돌봄전략 필요…두려움·고통 덜고 집에서 가족과 관리자 2025-11-17 13
    공지 [동아일보] 마지막을 대우하는 방식이 곧 사회의 품격[기고/김대균] 관리자 2025-10-28 33
    공지 [뉴시스] "연명의료 안 받겠다"…존엄한 마무리 5만건 돌파 관리자 2025-10-26 65
    공지 [서울경제] [만화경] 품위있는 죽음과 장기 기증 관리자 2025-10-21 51
    공지 [중앙일보] 콧줄 꼈어도 카페 데려가라…말기암 환자 웃게하는 법 [Health&]    28 관리자 2025-10-20 53
    공지 [조선일보] 당신이 말기 암 환자라면?… 10명 중 9명 "연명 치료 안 한다"    관리자 2025-10-17 56
    공지 [서울신문] ‘평균 대기 4년’ 장기 기증…‘심정지 후 기증’ 추진한다 관리자 2025-10-17 60
    공지 [한겨레] “존엄사, 따뜻하지만 위험한 말”…말기환자 의료결정 용어 혼란 여전 관리자 2025-10-16 60
    공지 [한겨레] “모든 삶은 기록되어 마땅하다” 죽음 마중하는 서른명의 자서전 관리자 2022-12-24 22
    91 [연합뉴스] '죽음 논의' 서툰 韓…국민 과반 "가족과 죽음 관련 대화 안 해" 관리자 2025-10-09 66
    90 [동아일보] “신체-정신적으로 편안해야 품위 있는 죽음 …가족 부담 줄여야” 1 관리자 2025-10-09 70
    89 [한겨레] ‘연명의료 중단’ 지난해에만 7만건…2명 중 1명만 ‘스스로 결정’ [건강한겨레] 관리자 2025-10-04 78
    88 [뉴스토마토] (헬스&사이언스)"나의 마지막은 내가 정한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00만 시대, 어디까지 왔나 관리자 2025-09-10 91
    87 [동아일보] [월요 초대석]“임종 임박해 내리는 연명의료 결정, 존엄한 삶 마지막 준비 역부족” 17 관리자 2025-09-08 127
    86 [뉴시스] 작년 무연고 사망자 6139명…국가 공식통계 없어 대안 마련 차질[무연고자 존엄사②] 관리자 2025-09-07 133
    85 [중앙일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00만 명 의미와 과제    관리자 2025-08-29 160
    84 [동아일보] [온라인 라운지]사실모, 금천구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사 교육    관리자 2025-08-26 125
    83 [연합뉴스] [팩트체크] "존엄하게 죽고 싶다"…각국의 조력사망 허용 어디까지 관리자 2025-08-20 340
    82 [동아일보] 병동 곳곳 ‘내생명 내가 결정’ 문구…중증 치매도 연명의료 중단 가능 관리자 2025-08-19 132
    81 [머니투데이] ‘100분 토론’ 존엄하게 죽을 권리, 특권 되지 않으려면… 관리자 2025-08-19 127
    80 [중앙일보] “연명의료 안 받겠다” 300만명 넘어, 여성이 남성의 2배 관리자 2025-08-11 155
    79 [쿠키뉴스] “치매, 호스피스 돌봄으로 품어야”…전문가 “제도 정비” 한목소리 관리자 2025-08-05 130
    78 [주간조선] 연명치료의 자기결정권 "내 인생 마지막 누가 결정하나?" 관리자 2025-08-05 123
    77 [농민신문] [기획] ‘웰다잉’ 마지막을 존엄하게(9) 매주 죽음을 보는 유성호 법의학자가 웰다잉을 말하는 이유 관리자 2025-08-01 125
    1 2 3 4 5 6 7

    상담신청

    교육문의

    e 뉴스레터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