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림마당   /   웰다잉소식

    웰다잉소식

    [노컷뉴스] 종교 "조력존엄사, 기독교인은 어떻게 바라볼까?" 찬반 논의의 장 마련
    2025-11-24 22:15:09
    관리자
    조회수   7

     

    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인 조력존엄사와 관련해 기독교계가 논의의 장을 마련한다. 한국기독교목회지원네트워크는 오는 28일 성락성결교회에서 '기독교인이 바라보는 조력존엄사' 세미나를 개최한다.
     

    한국기독교목회지원네트워크는 "조력존엄사 법안이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는 가운데, 기독교 생명관을 바탕으로 올바른 이해를 돕고, 교회와 신학계가 취해야 할 대응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세미나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세미나에서는 '조력존엄사에 대한 이해와 법률 (안해용목사)', '조력존엄사에 대한 긍정적 관점 (박충구교수, 전 감신대), '조력존엄사에 대한 부정적 관점 (이길찬목사,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에 대한 발제가 진행된다. 
     
    발제자들은 조력존엄사의 긍정적 부정적 입장을 균형있게 조명하는 동시에 목회 현장에서 교인들과 시민들이 직면하는 실제적인 고민—임종 과정의 고통, 가족의 결정 책임, 돌봄의 부족—에 대해 교회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도 제시할 예정이다.
     
    조력존엄사와 관련해 국회에는 관련 법률안이 발의된 상태다. 국민 80% 이상이 조력존엄사 관련 입법을 찬성한다는 관련 여론조사도 있지만, 일부에서는 '존엄사'라는 용어가 국민인식을 왜곡하고 있다면서, 용어 사용의 문제를 지적하기도 한다. 
     
    한국기독교목회지원네트워크는 이번 세미나와 관련해 "찬반을 떠나 사회에서는 조력존엄사에 대한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기독교계 내부에서는 아직 '죽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대한 신학적 성찰조차 충분하지 않다"면서, 특히 "'존엄사'와 '안락사'를 혼동하며 조력존엄사에 대한 오해가 사회적으로 퍼져 있어 교회의 공적 발언과 신학적 정리가 긴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기사원문보러가기 https://www.nocutnews.co.kr/news/6430449?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51118062857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기사날짜 조회수 첨부 파일
    공지 [동아일보] ‘가정 돌봄’ 원한 호스피스 환자 8%만 자택서 임종 맞아 관리자 2025-11-23 6
    공지 [한겨레] ‘죽음 불안’이 삶에 길이 되려면 관리자 2025-11-20 7
    공지 [노컷뉴스] 종교 "조력존엄사, 기독교인은 어떻게 바라볼까?" 찬반 논의의 장 마련 관리자 2025-11-18 7
    공지 [한겨레] ‘좋은 죽음’ 위한 돌봄전략 필요…두려움·고통 덜고 집에서 가족과 관리자 2025-11-17 25
    공지 [동아일보] 마지막을 대우하는 방식이 곧 사회의 품격[기고/김대균] 관리자 2025-10-28 39
    공지 [한겨레] “모든 삶은 기록되어 마땅하다” 죽음 마중하는 서른명의 자서전 관리자 2022-12-24 39
    93 [뉴시스] "연명의료 안 받겠다"…존엄한 마무리 5만건 돌파 관리자 2025-10-26 70
    92 [서울경제] [만화경] 품위있는 죽음과 장기 기증 관리자 2025-10-21 55
    91 [중앙일보] 콧줄 꼈어도 카페 데려가라…말기암 환자 웃게하는 법 [Health&]    관리자 2025-10-20 61
    90 [조선일보] 당신이 말기 암 환자라면?… 10명 중 9명 "연명 치료 안 한다"    관리자 2025-10-17 61
    89 [서울신문] ‘평균 대기 4년’ 장기 기증…‘심정지 후 기증’ 추진한다 관리자 2025-10-17 69
    88 [한겨레] “존엄사, 따뜻하지만 위험한 말”…말기환자 의료결정 용어 혼란 여전 관리자 2025-10-16 66
    87 [연합뉴스] '죽음 논의' 서툰 韓…국민 과반 "가족과 죽음 관련 대화 안 해" 관리자 2025-10-09 72
    86 [동아일보] “신체-정신적으로 편안해야 품위 있는 죽음 …가족 부담 줄여야” 1 관리자 2025-10-09 76
    85 [한겨레] ‘연명의료 중단’ 지난해에만 7만건…2명 중 1명만 ‘스스로 결정’ [건강한겨레] 관리자 2025-10-04 87
    84 [뉴스토마토] (헬스&사이언스)"나의 마지막은 내가 정한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00만 시대, 어디까지 왔나 관리자 2025-09-10 120
    83 [동아일보] [월요 초대석]“임종 임박해 내리는 연명의료 결정, 존엄한 삶 마지막 준비 역부족” 17 관리자 2025-09-08 134
    82 [뉴시스] 작년 무연고 사망자 6139명…국가 공식통계 없어 대안 마련 차질[무연고자 존엄사②] 관리자 2025-09-07 140
    81 [중앙일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300만 명 의미와 과제    관리자 2025-08-29 168
    80 [동아일보] [온라인 라운지]사실모, 금천구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사 교육    관리자 2025-08-26 133
    79 [연합뉴스] [팩트체크] "존엄하게 죽고 싶다"…각국의 조력사망 허용 어디까지 관리자 2025-08-20 369
    1 2 3 4 5 6 7

    상담신청

    교육문의

    e 뉴스레터

    유튜브